반응형
n8n을 이용하여 webhook으로 api 호출시 502 오류가 발생한 경우
docker-compose.yml 파일에
- NODE_OPTIONS=--max-old-space-size=22528
을 추가 하여 다시 build 하면 오류가 해결됩니다.
environment:
- N8N_BASIC_AUTH_ACTIVE=true
- N8N_SECURE_COOKIE=false
- N8N_PORT=5678
- N8N_HOST=localhost
- NODE_OPTIONS=--max-old-space-size=22528
참고 사이트
https://community.n8n.io/t/n8n-server-502-error-gateway/31781
반응형
'오류수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afe24 워드프레스와 make 연동시 오류 대처방법 (2) | 2025.01.07 |
---|